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7

도시바 외장하드 인식불가 데이터 복구 방법은?

도시바 외장하드 인식 불가 데이터 복구 방법은 크게 외장 하드 복구 프로그램 사용과 체크 디스크를 사용한 원상 복구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도시바 외장하드 인식 불가 데이터 복구를 위해서는 디스크 관리자에서 도시바 외장 하드 볼륨 용량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디스크 관리자에서 볼륨 용량이 확인 안 될 경우 자가 점검이나 데이터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 복구 업체에 의뢰해야 합니다. 데이터복구 프로그램 무료 다운로드 및 사용 방법 외장 하드, 하드 디스크 등 저장 매체에서 데이터를 잃어버렸거나 파티션 접근이 안될 경우 데이터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해 데이터 복구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은 굉장 gyou-story.tistory.com 일부 도시바 외장 하드는 USB 컨트롤러와 ..

Data Recovery Tip 2021.06.07

WD 외장하드 인식불가 데이터복구 방법은?

WD 외장하드 인식 불가 데이터 복구는 씨게이트, 삼성, 도시바 등 타제품에 비해서 좀 더 까다롭습니다. 다른 이유보다는 WD 외장 하드가 컨트롤러 일체형 PCB를 사용하기 때문인데 쉽게 외장 하드 케이스를 분해해 하드 디스크를 SATA로 직접 연결이 불가합니다. 이는 데이터 복구에 있어 큰 차이가 있는데 속도뿐 아니라 USB로 연결해 외장 하드 복구 작업을 하면 I/O 오류로 인해 데이터 통신 자체가 완전히 끊어져 버리면서 외장 하드 장치 에러가 발생합니다. USB 라인 분석 후 SATA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근래 WD 외장 하드는 이런 방식으로 연결 시 데이터가 암호화된 상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대부분 데이터 복구 작업을 할 수 없습니다. 결국 WD 외장하드 인식 불가 데이터 복구는 논리적 볼륨 손..

Data Recovery Tip 2021.06.02

USB 장치 인식 실패 원인과 해결 방법

USB 장치 인식 실패 장애가 발생하면 우선 컴퓨터 전원을 완전히 껐다가 켜고 USB를 연결해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는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이때 USB는 꼭 데스크톱 뒷면에 연결합니다. 이후 동일 증상이 반복될 경우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문제 해결이 가능한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 외 USB 장치 인식 실패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정상적으로 잘 사용하던 USB 장치 인식 실패는 USB에 물리적 고장일 가능성이 가장 큰 게 사실입니다. 삼성, 샌디스크 등 제조사에서도 다른 정상적인 데스크톱 뒷면 USB 포트에 연결해 동일한 현상이 반복된다면 USB 저장 장치 고장을 의심해야 봐야 한다 안내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USB에 충격을 주거나 떨어뜨린 적이..

Data Recovery Tip 2021.06.01

USB 포맷 메시지 오류 해결 방법은?

정상적으로 사용하던 USB 포맷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USB 파일 시스템 손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파일 시스템을 해결하는 방법은 체크 디스크와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사용이 있는데 USB에 경우 체크 디스크보다는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게 더 나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체크 디스크 실행 시 USB 저장 매체 특성과 FAT32 파일 시스템 특성에 따라 정상적인 복구가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USB 포맷 메시지 오류가 발생한 경우 USB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으로 복구를 시도해 볼 수 있는데 그전에 우선 디스크 관리자에서 볼륨 용량 확인이 가능한지 알아봐야 합니다. 디스크 관리자에서 USB 용량이 보이지 않는 다면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Data Recovery Tip 2021.02.22

외장 하드, 하드 디스크 파일 및 디렉터리 손상 해결은?

외장 하드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다가 보면 파일 및 디렉터리가 손상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디스크 접근이 불가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런 문제는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파일 시스템 손상에 경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사용 환경에 따라 발생 이유가 워낙 다양하해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 데이터는 언제나 다중으로 백업해 관리해야 합니다. 이런 파일 및 디렉터리 손상이 발생된 경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손상 원인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중요 데이터 복구가 필요하신 경우라면 전문 업체에 의뢰하시는 것도 추천되는 방법입니다. 직접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체크 디스크와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ata Recovery Tip 2021.02.22

인식 안되는 씨게이트 외장하드 복구 방법은?

씨게이트 외장 하드 인식 불가 증상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씨게이트 외장 하드 인식 불가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인식 불가 원인에 따라서는 별 다른 조치 없이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데이터를 다시 찾을 수 있습니다. 씨게이트 외장하드 인식불가 증상이 발생한 경우 외장 하드를 우선 컴퓨터 후면 USB 포트에 연결 후 디스크 관리자에서 볼륨 용량이 나타나는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나타나는 장치는 USB 컨트롤러 정보이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고장 여부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디스크 관리자를 확인해 봐야 합니다. 디스크 관리자에서 볼륨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면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해 데이터 복구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단순 볼륨 손상에 경우 대부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Data Recovery Tip 2021.02.22

외장하드가 포맷되었어요. 안전한 복구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장하드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연결했습니다. 연결이 가능하다고 인터넷에 나와 있어 별생각 없이 외장하드를 연결했는데 핸드폰에서 오류가 있다고 나오면서 초기화를 해야 한다고 해 초기화를 눌렀는데 외장 하드가 포맷되었습니다. 외장하드를 포맷한다는 말이었다면 제가 하지 않을 텐데 연결 문제를 해결해 준다는 의미인지 알고 진행하다 이렇게 되어버렸습니다. 문제는 이 외장 하드에 아이들 사진이 전부 저장되어 있어 꼭 데이터 복구를 해야 합니다. 다른 데이터는 전부 버려도 아이들 사진만이라도 꼭 복구를 해야 하는데 외장 하드를 안전하게 복구할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전 비용이 들어간다고 해도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을 찾고 싶습니다. 외장 하드를 핸드폰이나 태블릿 등 안드로이드 기기에 ..

Data Recovery Tip 2020.12.07

핸드폰 해킹 확인하는 방법

핸드폰에 해킹은 치명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수 있습니다. 막대한 금전적 피해뿐 아니라 신상정보 노출로 인한 다양한 피해를 오랜 시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주의해야 할 부분인데 이런 핸드폰 해킹은 대부분 WIFI 접속 시 보안 허점을 이용해 이루어지거나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어플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진행되며, 특히 핸드폰 해킹에 대부분은 사용자가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어플을 실행하면서 발생합니다. 대부분에 핸드폰 해킹이 스파이앱을 통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런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는다면 핸드폰 해킹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내 핸드폰에 해킹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경찰청에서 제공하는 폴-안티 스파이 앱을 통해서 핸드폰 해킹 프로그램을 검사해 볼 수 있습니다. ..

PC Tip 2020.11.18

맥용외장하드 포맷 방법

외장하드를 맥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맥전용으로 표기된 외장하드를 구매하거나 외장하드를 맥에서 사용 용도에 맞게 포맷을 해주실 수 있습니다. 맥과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외장하드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맥전용 외장하드로 표기된 제품에 경우 HFS+ 포맷되어 출고되는 제품을 의미합니다. 이외 다른 외장하드에 경우 NTFS 혹은 exFAT로 포맷된 제품으로 볼 수 있으며, 대부분 NTFS로 포맷되어 있습니다. 결국 같은 제품이나 출고시 포맷 방식에 따라 윈도우, 맥 전용으로 나누어 지기 때문에 윈도우 전용 외장하드를 구매해도 맥전용으로 다시 포맷하면 맥 OS에서 사용함에 전혀 문제될 게 없습니다. 맥용 외장하드 포맷은 맥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HFS+(MAC OS 확장 저널링) 지우기를..

PC Tip 2020.11.18
반응형